본문 바로가기
경영의 손자병법: 16가지 승리기법

<3.컨셉>3-2.목적화

by Life Force 2025. 3. 15.
728x90
반응형

목적화 (Purpose Definition) 기법에 대한 설명

기본 개념:
목적화는 기업의 존재 이유와 그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를 명확히 정의하는 과정입니다. 기업이 어떤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지, 그 가치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 목적화입니다. 이는 기업활동 중에서 가장 중요한 최상위의 활동으로, 기업의 비전, 사명, 핵심 가치를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목적화는 단순히 기업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철학가치관을 설정하여 조직원들이 이를 공유하고, 그 목표를 향해 일관되게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마쓰시다의 수도철학은 마쓰시다 전기에서 철학적 가치가 중요한 역할을 한 사례입니다. 기업의 존재 이유가 단순히 이윤 창출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적 책임, 문화적 가치, 지속 가능한 발전 등을 아우르는 넓은 의미의 목적을 포함합니다.


목적화를 통해 철학을 공유하고 조직원들이 함께 한 목적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10가지

  1. 기업의 사명 선언문 작성
    • 기업의 핵심 가치를 담은 **사명 선언문(Mission Statement)**을 작성하여 모든 조직원이 이를 공유하고, 각자의 역할이 전체 목적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합니다.
    • 예시: “우리는 사람들에게 건강한 삶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제품을 통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듭니다.”
  2. 기업 비전 공유하기
    • 기업의 비전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조직원들에게 꾸준히 전달하여, 모든 사람이 동일한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비전은 기업이 궁극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목표입니다.
    • 예시: “2025년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두 기업이 된다.”
  3. 핵심 가치 정의 및 교육
    • 기업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핵심 가치(예: 정직, 혁신, 고객 중심 등)를 정의하고 이를 조직 내에서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지속적으로 강조합니다.
    • 예시: “우리는 고객 중심의 사고를 바탕으로 모든 결정을 내립니다.”
  4. 리더십의 철학적 리더십 실천
    • 리더가 먼저 기업의 가치목적을 몸소 실천하여, 조직원들에게 그 가치를 전달합니다. 리더십은 기업 문화와 목적화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예시: CEO가 자주 직원들과 소통하며 회사의 사명과 비전을 강조하고, 이를 실현하는 데 앞장서는 모습.
  5. 목표 설정과 KPI 연결
    • 기업의 목표와 **핵심 성과 지표(KPI)**를 연계하여, 모든 직원이 각자의 목표가 기업의 목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예시: 영업 팀의 목표가 "매출 증가"로 설정되어 있고, 이 목표가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연결된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6. 직원 참여를 통한 목적 설정
    • 직원들이 기업의 목적 설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조직원들이 스스로 기업의 가치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만듭니다.
    • 예시: 워크숍이나 설문조사를 통해 직원들이 회사의 비전과 가치를 어떻게 정의할지를 논의하고 의견을 모읍니다.
  7. 기업 철학을 통한 의사결정
    • 기업의 철학을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삼아, 매사에 일관성 있는 결정을 내리도록 합니다. 모든 의사결정은 기업의 가치와 목적에 부합하는지 점검합니다.
    • 예시: 제품 출시 여부를 결정할 때, 기업의 철학인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생산”을 기준으로 제품을 평가합니다.
  8. 기업 문화로 목적화 실현
    • 조직 내에서 목적을 실현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일상적인 행동과 상호작용을 통해 기업 철학과 목적을 지속적으로 강조합니다.
    • 예시: 정기적인 회의에서 회사의 가치와 목적을 주제로 이야기하고, 모든 직원들이 이를 바탕으로 활동하도록 유도합니다.
  9. 내부 커뮤니케이션 강화
    •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모든 직원들이 회사의 비전과 가치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 예시: 회사의 가치나 비전을 전파하는 뉴스레터, 브리핑 세션 등을 통해 직원들이 항상 목표를 상기할 수 있도록 합니다.
  10. 사회적 책임과 기업의 목적 연결
    • 기업의 목적이 사회적 책임과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하여, 직원들이 기업의 존재 이유를 단순히 이윤 추구가 아닌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 예시: 회사가 사회적 기업으로서 환경 보호나 사회 공헌 활동을 강조하며, 직원들에게 이러한 활동에 적극 참여하도록 독려합니다.

경영 및 조직에서의 연습과제 10개

  1. 기업의 비전과 사명 선언문을 다시 작성하고, 그 내용이 조직원들에게 어떻게 전달될 수 있을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 보세요.
  2. 회사의 핵심 가치를 정의하고, 이를 직원들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구상해 보세요.
  3. 회사의 철학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어떤 기준을 설정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계획해 보세요.
  4. 직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회사의 목적을 정의하고, 이를 어떻게 조직원들과 공유할 것인지 아이디어를 내보세요.
  5. 자신의 팀 목표와 회사의 목표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해 보세요.
  6. 정기적인 회의에서 회사의 철학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 이를 직원들에게 어떻게 상기시킬 것인지 계획을 세워보세요.
  7.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기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을 제시하고, 이를 직원들과 공유하는 방법을 구상해 보세요.
  8. 리더로서 자신의 철학을 실천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고, 이를 조직원들에게 전달할 방법을 계획해 보세요.
  9. 회사의 목표와 실제 성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이를 목표 설정 및 성과 평가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계획해 보세요.
  10. 회사의 비전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보세요.

목적화 기법은 기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조직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단기적인 목표를 넘어서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경영의 손자병법: 16가지 승리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사이클>4-1.혁신화  (0) 2025.03.15
<3.컨셉>3-3.차별화  (1) 2025.03.15
<3.컨셉>3-1.문제의식화  (0) 2025.03.15
<2.구조>2-3.사고화  (0) 2025.03.15
<2.구조>2-2.상관화  (0) 2025.03.15